본문 바로가기
개발 노트/아티클 읽기

4. AI의 USB라는 'MCP'는 무엇일까

by LeeInGyu 2025. 4. 28.

AI의 USB라는 'MCP'는 무엇일까

출처

AI의 USB라는 'MCP'는 무엇일까 Byline Network

MCP를 개발한 회사 앤트로픽

  • OPENAI 직원이 퇴사 후 만든 회사
  • 효과적 이타주의를 추구하는 미국의 인공지능 업체
  • MCP가 AI의 USB-C 포트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한다.

MCP의 구조

  • 클라이언트-서버 아키텍쳐이다.
  • MCP 호스트가 MCP 클라이언트를 통해 MCP 서버로 요청하면 호스트가 원하는 데이터를 약속된 방식으로 제공한다.
  • 각 클라이언트는 특정 MCP 서버와 1대1로 연결해 호스트의 요청을 이뤄준다.

MCP 표준 JSON-RPC 2.0

  • JSON 형식의 통신규약으로 비트코인, 이더리움 등 블록체인 클아이언트에서 사용됨
  • 상태를 관리하지 않는 원격 프로시저 호출 프로토콜(RPC, Remote Procedure Call)

MCP의 기능 협상(Capability Negotiation)

  • MCP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초기화하는 동안 서로 지원하는 기능을 확인 후 협상을 통해 사용가능한 기능을 결정한다.
  • 클라이언트는 서버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파악,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에 맞춰 기능을 제공한다.

MCP 단점

  • 계층화된 통신 구조이므로 API 연동에 성능 저하를 보일 수 있다.
  • 실시간, 고성능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한계가 있다.
  •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접근할 작업이 있는 경우 보안 문제가 있다.

단어 정리

|---|---|---|
| 워크플로 | Workflow | 사람이 작업을 완료하는 처음과 끝 모두를 의미 |

728x90
반응형